2025 기획재정부 상속세 개편(안)
- 중소기업 지원제도
- 2025. 4. 8. 13:15
2025. 03. 12 / 기획재정부
상속세 개편안 핵심 사항 정리
1. 추진 배경
- 현행 상속세 문제점:
- 피상속인 전체 유산 기준 과세 → 상속인별 유산 규모와 무관하게 높은 누진세율 적용.
- 공제 혜택이 전체 유산에서 일괄 차감되어 특정 상속인의 공제 효과가 타인에게 전이 (예: 장애인 공제 효과 희석).
- 상속과 중여(증여) 간 과세 기준 불일치로 인한 복잡성 및 불공정성 발생.
- 유산취득세 전환 필요성:
- 상속인이 실제 취득한 유산만큼 세금 부담 (형평성 강화).
- OECD 대부분 국가(일본, 프랑스, 독일 등)에서 채택한 방식으로 부의 분산 유도.
2. 주요 개편 방안
- 과세 방식:
- 현행: 피상속인 전체 유산 기준 → 개정: 상속인별 취득 재산 기준 과세.
- 납세의무: 상속인별 개별 납부.
- 공제 제도 개선:
- 인적 공제:
- 상속인별 기본공제(직계존비속 5억원 등) + 추가공제(미성년·장애인 등 상황 반영).
- 배우자 공제: 재산 한도 내 10억원까지 확대.
- 물적 공제:
- 가업상속공제(300~600억원), 금융재산공제 등 현행 혜택 유지.
- 인적 공제:
- 납세 절차:
- 신고기한: 상속개시 후 6개월.
- 분할기한: 신고 후 9개월 내 재산 분할 허용 (법정상속분 기준 분할 시 가산세 면제).
- 조세회피 대응:
- 위장분할 시 부과제척기간 10년 → 15년 연장.
- 우회상속(상속 후 5년 내 중여) 시 감세액 과세.
3. 시행 계획
- 시행시기: 2028년 (법률안 ’25년 국회 통과 전제).
- 추진 일정:
- ’25년: 입법예고(3월), 공청회(4월), 법률안 제출(5월).
- ’26~’27년: 시스템 구축 및 보완 입법.
4. 기대 효과
- 상속인별 공정한 세부담 분배로 사회적 형평성 제고.
- 조세 회피 방지를 통한 과세행정 투명성 강화.
- 중여세와의 일관된 과세체계로 법적 복잡성 해소.
※ 다음은 기재부 <보도자료>입니다!
★ 상속세 개편(안) 해설 영상
상속세 세제개편
www.youtube.com
'중소기업 지원제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EO 노무] 대체휴일 근무에 대한 임금 지급 (0) | 2025.04.23 |
---|---|
2025 CEO가 알아야할 노무 이슈 (0) | 2025.01.15 |
2024 법인세 공제 및 감면 제도 (0) | 2025.01.02 |
2025 세법개정안 국회 의결(24.12.10) (0) | 2024.12.11 |
2025년 경제 / 산업 전망 보고서 - KIET (2) | 2024.11.29 |